임종석 "친명 색깔만으론 어렵다"…조기대선 채비 나선 비명계?
최고관리자
0
153
01.24 03:58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 사진 뉴시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항소심 선고가 이르면 3월 말에 나올 것으로 예상되면서 비명계(비이재명계)가 본격적으로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민주당의 지지율이 연일 하락세를 보이는 것도 내부 비판 목소리에 힘을 실은 것으로 보인다. 비명계는 '이재명 일극 체제'을 겨냥하며 '연대와 포용의 정치'를 주문했으며, 개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신인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은 1월 24일 페이스북에서 "친명의 색깔만으로는 과반수 국민의 신뢰를 얻기 어렵다"며 이재명 일극 체제를 직격했다. 임 비서실장은 "이재명 대표 혼자 모든 걸 다 잘 할 수는 없다"며 "민주당 안팎에는 국정운영 경험과 능력을 가진 자산들이 많다. 최대한 연대하고 포용하고 통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조 친노(친노무현)'인 김두관 전 경남지사도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민주당이 위기"라며 "대선 주자 선호도에서 이 대표가 국민의힘 두셋 후보에 패배하는 결과도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전 지사는 "오로지 당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기피하고 조기 대선을 위해 올인하는 모습으로 비춰져서는 안 된다"며 "(민주당이) 제왕적 대통령의 권한을 책임총리 및 국회와 나누는 '분권형 대통령제'로의 개헌 논의에 앞장서야 한다"고 했다.
전날 종로구 노무현시민센터에서 모인 비명계 주요 인사들은 개헌의 필요성에 한 목소리를 냈다. 이재명 대표가 계엄 사태 이후 "내란 극복에 집중할 때"라며 개헌론에 선을 긋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날 열린 박광온 전 원내대표가 설립한 정책연구소 '일곱번째 나라 LAB' 설립 기념 심포지엄에는 12·3 비상계엄 사태 때 귀국한 김경수 전 경남지사를 비롯해 정세균 전 국무총리, 김진표 전 국회의장 등이 자리했다.
김 전 지사는 "어느 한 사람이나 어느 한 사고의 독주를 허용하지 않는 다원주의를 지향하면서 폭력적인 언행을 용납하지 않은 것을 국민께 똑똑히 보여드려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 전 총리는 축사에서 "개헌에 성공하지 못한 게 지금과 같은 불행을 초래한 원인일 수 있다"며 "제7공화국을 여는 일을 함께 성공시켰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 전 의장도 "대화와 타협을 제도화하는 정치의 틀이 갖춰졌으면 좋겠다"며 "헌법, 정당법, 선거법을 고쳐야 한다"고 했다.
이같이 비명계가 본격적으로 쓴소리를 내는 것은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엠브레인퍼블릭, 케이스탯리서치, 코리아리서치, 한국리서치가 지난 1월 20일부터 22일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에 따르면 1월 넷째 주 정당 지지율은 국민의힘 38%, 민주당 36%로 나타났다. 일주일 전 같은 조사에 이어 이번 주에도 국민의힘이 민주당을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다.
조원씨앤아이가 시사저널 의뢰로 지난 1월 18~19일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6명에게 조기 대선이 열린다는 전제로 '이재명 대표 대 김문수 장관 양자 대결 투표 의향'을 물은 결과,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46.4%의 지지율을 얻어 이 대표(41.8%)를 오차범위 내에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 지지율 하락 현상을 두고 지난 1월 23일 이 대표는 "국민의 뜻이니까 겸허하게 수용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날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민주당 자체 여론조사에서도 최근 여야 지지율 역전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명 대표는 이와 관련해 지난 1월 20일 비공개 지도부 회의에서 당 지지율이 정체된 원인을 분석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