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푸틴 핵 위협에 인류공멸 위기 최고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핵전쟁으로 인류가 공멸할 위험성이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AP통신과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민주당 상원 선거위원회 리셉션 행사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두고 “그가 전술핵이나 생화학 무기를 언급할 때 그건 농담이 아니었다”면서 “우리는 존 F 케네디와 쿠바 미사일 위기 이래 아마겟돈이 일어날 가능성에 직면한 적이 없었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의 핵 위협 사태 중대성을 성경에서 묘사된 인류 최후의 전쟁인 아마겟돈에 빗대 강조한 것이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달 22일 군 동원령을 발령하면서 “러시아 보호를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고 발언해 핵무기 사용 가능성을 시사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상대적으로 파괴력이 약한 전술핵이라고 해도 한쪽이 핵무기를 쓰는 순간 걷잡을 수 없이 상황이 악화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는 적이 핵 공격을 가할 경우 적의 공격 미사일 등이 도달하기 전에 또는 도달한 후 생존해 있는 보복력으로 상대도 전멸시키는 보복 핵전략인 상호확증파괴(MAD)에 대한 언급으로 풀이된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에 대한 선제 핵 공격을 촉구했다. 그는 이날 호주 싱크탱크 로위연구소와의 영상 문답에서 나토(북대서양조양기구)의 러시아에 대한 예방적 핵 공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레믈궁 대변인은 이 발언이 (3차) 세계대전을 일으키라는 요구와 다름없다고 반발했다.
예를 들어 러시아가 병합을 선언한 4개 주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공격으로 이 지역을 빼앗길 상황이 되면 핵무기를 사용할 명분이 확보되는 셈이다. 실제 푸틴 대통령의 최측근인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은 새로 편입한 점령지 방어를 위해 소형 전술핵무기와 달리 대량살상과 파괴가 목적인 전략핵무기까지 쓸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상대적으로 파괴력이 약한 전술핵이라고 해도 한쪽이 핵무기를 쓰는 순간 걷잡을 수 없이 상황이 악화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전술적 무기를 손쉽게 쓰면서 아마겟돈으로 귀결되지 않을 능력 같은 게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는 적이 핵 공격을 가할 경우 적의 공격 미사일 등이 도달하기 전에 또는 도달한 후 생존해 있는 보복력으로 상대도 전멸시키는 보복 핵전략인 상호확증파괴(MAD)에 대한 언급으로 풀이된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에 대한 선제 핵 공격을 촉구했다. 그는 이날 호주 싱크탱크 로위연구소와의 영상 문답에서 나토(북대서양조양기구)의 러시아에 대한 예방적 핵 공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가 핵무기를 사용할 가능성을 없애야 한다. 러시아의 핵 공격을 기다리면 안 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레믈궁 대변인은 이 발언이 (3차) 세계대전을 일으키라는 요구와 다름없다고 반발했다. 그러면서 그는 사실상 키이우(우크라이나)를 통치하는 미국과 영국이 이를 책임져야 한다고 공세했다.
한편에서는 러시아의 핵 공격 능력에 대한 회의론도 제기된다. 올렉시 레즈니코프 우크라이나 국방장관은 자국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마지막으로 핵실험을 한 것은 1990년대”라며 “러시아가 핵무기와 발사체를 갖고 있지만 그것이 제대로 작동하고 날아갈지 아무도 모른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