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고래, 파보니 경제성 없었다…추가 시추 여부 '불투명'
석유공사 제공© 연합뉴스
윤석열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 온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의 1차 시추 작업이 완료된 가운데 이른바 대왕고래로 알려진 유망구조의 경제성이 없다는 판단이 나왔다.
정부는 나머지 6개 유망구조에 대해서도 해외투자 유치를 통해 시추를 진행하겠다는 계획이지만 가장 기대를 걸었던 대왕고래 유망구조가 경제성이 없다는 판단이 나오면서 향후 진행 과정이 순탄치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왕고래 유망구조 경제성 없다고 판단…대왕고래 추가 시추 가능성 낮아
6일 산업통상자원부는 대왕고래 1차 시추 결과와 관련해 "대왕고래 시추 작업 과정에서 가스 징후가 일부 있는 것을 확인했지만 그 규모가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었다"며 "경제성을 확보 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었다"고 밝혔다.
대왕고래 유망구조에 대한 탐사시추 작업은 지난해 12월 20일 시작된 이후 47일 만인 지난 4일 종료됐으며 현재 시추 과정에서 취득한 검층자료와 시료 등을 전문 용역사로 보내 정밀 분석과 실험을 실시하게 된다.
중간 결과는 5~6월쯤, 최종 분석 결과는 8월에 나올 것으로 예상되지만, 시추과정에서 확인한 내용은 대왕고래 유망구조의 가스 포화도가 높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대왕고래 유망구조와 관련해서는 추가 시추 등 탐사는 진행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왕고래 프로젝트라는 말도 이제 사용하기 어렵게 됐다. 정부 입장은 현재 전문가 검증 등이 추가로 필요하지만 현재로서는 대왕고래 유망구조에 대한 추가 시추 가능성 낮다는 입장이다.
다만 이번 시추과정에서 석유 매장에 중요한 환경적 요소인 기반암, 저류층(모래), 덮개암(진흙), 트랩 등 4가지 구조는 당초 예상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고 평가했다. 이번에 확인한 내용은 추후 6개 유망구조에 대한 탐사를 진행할 경우 중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석유부존의 핵심 '탄화수소' 확인 되지 않아
하지만 가장 중요한 탄화수소 부존 여부가 이번 시추과정에서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이 정부로서는 뼈아프다.
산업부 고위관계자는 "경제성 판단은 가스 징후가 나오면 저츄층, 덮개암 등을 비롯해 가스 포화도 등 여러요소를 보게 되느데 가장 중요한건 탄화수소 가스 포화도다. 가스 포화도 수치가 경제적이라고 볼 수가 없어서, 추가 탐사 시추를 할 정도에 이르지는 못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6월 정부가 동해 심해가스 부존 가능성을 발표할 때 미국 심해평가업체 액트지오 비토르 아브레우 대표도 "지금까지 분석을 통해서는, 탄화수소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힌 바 있다.
탄화수소 부존여부가 곧 경제성을 의미하는데 학계에서는 탄화수소의 부존 확인은 주로 시추를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보고있다. 이 때문에 당시 정부도 가능성이 발견된 만큼 시추를 해봐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해외 투자 유치 통해 시추 이어나갈 수 있게 노력"
다만 정부는 이번 시추를 통해 석유 매장에 중요한 환경적 요소인 기반암, 저류층(모래), 덮개암(진흙), 트랩 등 4가지 구조는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나온 만큼 해외 기업 유치에 공을 들이겠다는 입장이다.
앞서 국회가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예산을 사실상 전액 삭감하면서 정부는 2차 시추부터는 해외투자 유치로 재원을 조달하겠다는 구상이었던 만큼 이후 시추 여부는 해외투자 유치와 예산 확보 등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 고위관계자는 "6개 유망구조에 대한 탐사에 정부 예산이 필요하면 예비타당성 검증을 받겠다"고 밝혔다.
한편, 석유공사는 심해 개발에 필요한 자본력과 기술, 경험 등을 가진 글로벌 기업들을 대상으로 투자유치 절차가 본격 개시될 수 있도록 사전준비 절차를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투자 입찰 공고는 늦어도 3월말에는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출처 ⓒCBS노컷뉴스 조태임 기자